라면은 수돗물 '온수'로 끓이면 안 된다고?

라면은 수돗물 ‘온수’로 끓이면 안 된다고?
라면이나 국을 끓일 때 수돗물 ‘온수’를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건강을 위해서는 냉수가 더 나은 선택이다. ◇온수·냉수 나오는 길 달라 유
v.daum.net
라면이나 국을 끓일 때 수돗물 ‘온수’를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건강을 위해서는 냉수가 더 나은 선택이다.
순천향대 환경보건학과 장봉기 교수는
“온수가 보일러 배관을 거쳐 나올 때 구리, 납,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용출될 수 있다”며
“특히 물 온도가 높을수록 납 용출량이 높아져 오래된 배관일수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서울 마포구 소재의 한 아파트의 온수에서
독성물질인 페놀이 음용수 기준치(리터당 0.0005mg) 이상 검출된 사례가 있다.
중금속이 섞여 있더라도, 한 번 끓이기 때문에 괜찮지 않을까?
장봉기 교수는 “수돗물 염소 소독 시 생성될 수 있는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이나 박테리아 등은
끓이는 과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만 중금속은 제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장봉기 교수는 “마시는 용 혹은 조리용으로 수돗물을 사용할 때는 냉수를 사용하고
되도록 가열한 뒤 섭취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도 음용, 요리 시 냉수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권고한다.
수돗물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을 10~30초 흘려보낸 뒤 사용하는 게 좋다.
댓글 0
🔥 실시간 핫이슈 모음
노르웨이 숲에서 우연히 발견된 고양이

청년센터 제발제발 많이 이용해주세요!!!!!!.twt

꿈을 포기해야만 할 것 같을 때 들으면 좋은 노래

구준표 서민 체험 에피 다 웃김.x

컴퓨터로 일할 때 켜놓기 좋은 로파이 코지 게임

베이글에 크림이 가득 화덕에 굽는 '코끼리 베이글'.twt

주변에 한명쯤 있는 조롱마스터

클래식 이모저모 트윗 모음

족발을 노리는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다

너무 간단해서 쓰기도 민망한 집에서 클로티드 크림 만들기(방법'만' 간단함)

애플의 깜짝 선언 "美아이폰 전량 인도에서 생산"

인사하는 김채연(보니하니)

안녕 삼색아 난 네 영혼을 가지러 왔단다. 그러니 이만 겸허히 죽음을...

게임 그레텔과 헨젤 신작 출시

세탁기 터진 헬겔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