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은 수돗물 '온수'로 끓이면 안 된다고?

라면은 수돗물 ‘온수’로 끓이면 안 된다고?
라면이나 국을 끓일 때 수돗물 ‘온수’를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건강을 위해서는 냉수가 더 나은 선택이다. ◇온수·냉수 나오는 길 달라 유
v.daum.net
라면이나 국을 끓일 때 수돗물 ‘온수’를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건강을 위해서는 냉수가 더 나은 선택이다.
순천향대 환경보건학과 장봉기 교수는
“온수가 보일러 배관을 거쳐 나올 때 구리, 납,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용출될 수 있다”며
“특히 물 온도가 높을수록 납 용출량이 높아져 오래된 배관일수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서울 마포구 소재의 한 아파트의 온수에서
독성물질인 페놀이 음용수 기준치(리터당 0.0005mg) 이상 검출된 사례가 있다.
중금속이 섞여 있더라도, 한 번 끓이기 때문에 괜찮지 않을까?
장봉기 교수는 “수돗물 염소 소독 시 생성될 수 있는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이나 박테리아 등은
끓이는 과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만 중금속은 제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장봉기 교수는 “마시는 용 혹은 조리용으로 수돗물을 사용할 때는 냉수를 사용하고
되도록 가열한 뒤 섭취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도 음용, 요리 시 냉수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권고한다.
수돗물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을 10~30초 흘려보낸 뒤 사용하는 게 좋다.
댓글 0
🔥 실시간 핫이슈 모음
점점 외모가 동양인처럼 변하는 백인 .jpg

기싸움으로 유명한 짤의 잘 알려지지 않은 후기.jpg

강주은이 생각하는 결혼 적정 나이

현재 반응터진 투썸 그로밋 콜라보 제품.JPG

실시간 난리난 최근 엄마들이 회사에 자녀대신 전화하는 충격적인 이유

남편이 언성높일때 말리지 않는 딸 어떻게 이해해야 될까요

나를 모르느냐

다이소 개인정보 지우개 성능

얼마전 장애친구가 들어왔는데 저땜에 관둔다네요

국내 대형 게임사에서 여직원 불법촬영 터짐

도서관에서 빌린책 읽는데ㅋㅋㅋㅋ

배우 남주혁 최근 비쥬얼

대통령 탄핵하라면서 태극기 흔드는 모습

'참어른'이셨던 '김장하' 선생님이 하셨던 일.jpg

케이팝 10년 전 노래 플레이리스트 ♬

